IT/정보

OSI 7계층

게으른 CPU 2022. 12. 23. 19:30

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?

 

국제 표준화 기구(ISO)가 1984년에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하는 방식을 정의했다.

 


OSI 7 계층 

 

OSI 7 계층(이미지 출처 : 해시넷)

 


계층별 기능

 

물리 계층(Physical Layer, 1계층)

 

 > OSI 모델의 맨 밑에 있는 계층으로 네트워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매체이며,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로 전기적 신호 상태를 이룬다.

해당 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는 허브, 통신 케이블등이 있다.

 

데이터 링크 계층(DataLink Layer, 2계층)

 

 > 데이터의 전송용 서식 지정 방법과 네트워크 접근 제어 방법을 정의하며, 장비 간의 어드레싱과 토제 시그널링도 처리한다.

해당 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는 스위치가 있다.

 

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, 3계층)

 

 > 지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에 있는 두 호스트 시스템 사이에서 연결 확보 및 경로 선택을 담당한다.

해당 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가 있다.

 

전송 계층(Transport Layer, 4계층)

 

 > 가상 회선을 수립하고 유지 및 종료를 시키며, 전송 에러 탐지와 복구 및 정보 흐름 제어를 통해서 서비스 신뢰성을 확보하여 전달한다.

 

세션 계층(Session Layer, 5계층)

 

 > 두 PC 간의 대화나 세션을 관리하는 계층으로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 및 종료, 연결이 양방향 통신이지 단방향 통신인지 체크한다. 포트 연결이라고도 불리며,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 확립, 유지, 중단하는 작업을 한다.

 

표현 계층(Presentaion Layer, 6계층)

 

 > 세션 계층으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인코딩과 디코딩, 암호화와 복호화등 해당 계층에서 이뤄진다.

 

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, 7계층)

 

 >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유일한 계층이다.

해당 계층은 사용자가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(ex) 크롬, 이메일 등등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