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nort
- Slack
- 웹 브라우저
- wireshark
- 미국 국방부
- Notion
-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
-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
- file signature
- XSS
- CNA
- snort rule
- Path/Directory Traversal
- 멀버타이징
- Defend Forward
- OWASP
- honeypot
- AWS EC2
- cross-site scripting
- 선제적 방어
- Malvertising
- AWS
- Lateral Movement
- File Magic Number
- t-pot
- 레지스터
- CVE
- Register
- OSI 7 layer
- Cookie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VE (1)
IT에서 살아남기

CVE?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의 약자로 공개적으로 알려진 정보 보안 취약점을 식별, 정의 및 분류하는 것이며, 각 취약점에 하나의 CVE 레코드가 있다. CVE ID 표기법 취약점이 발견된 년도와 임의의 번호를 붙여 만들어지며, 연간 최대 9,999개의 취약점 식별번호를 지원할 수 있었다.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던 CVE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취약점 개수가 한계가 있다 판단하여 10,000개 이상 이름을 매길 수 있도록 자릿수 제한을 없애고 2015년 1월 13일부터 체계가 변경되었다. > CVE-해당 년도 - 취약점 번호 ex) CVE-2021-45105 : Apache Log4j 취약점 CNA(CVE Numbering Authorities) CVE 번호 지정하..
IT/CVE
2022. 12. 19. 23:23